YCCL 김정현 연구원
1. SNS의 특징
A. 개방성
B. 접근성
C. 신속한 전파력
D. 폭 넓은 관계망
: 트위터의 특성 – 팔로잉/팔로워의 구분이 상대방의 반응을 신경 쓰지 않고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만든다. 상대방의 트윗에 대한 동의나 호의의 표시는 리트윗, 댓글을 통해 이루어진다.
2. 정치와 SNS
A. 노리스(2001) : 정치에서 ICTs의 영향
1) 체제강화론 : 기존의 불평등한 정치적 대표 체계 강화. 정보의 빈부격차 현상이 일어남에 따라 기존에 자원을 확보한 집단이 보다 유리하게 추가적인 자원을 획득할 것이다.
2) 시민동원론 : 기존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혹은 무관심했던 시민이 참여하게 될 것이다.
B. 김용철, 윤성이(2004) : 사이버활동
1) 동원이론 : 인터넷의 발전으로 새로운 형태의 정치 참여가 확대될 것이다.
2) 강화이론 : 온라인을 통한 정치 참여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아 기존의 정치 참여 형태가 강화될 것이다.
C. 풋, 슈나이더(2006) : 웹캠페인전략
1) 정보제공 : 후보 및 정책 관련 정보의 효율적 제공
2)관여 : 방문자와 캠페인 조직 사이의 상호작용 촉진
3) 연대 : 방문자와 다른 우호 집단을 링크를 통해 연결
4) 동원 : 지지자 간 우호 관계와 후보자의 긍정적 이미지 구축
D. 김경미(2009) : SNS의 정치적 영향력
1) 접근성강화 : 온라인 기반의 사회 연결망을 구축함으로써 대중의 정치 참여 행위를 촉진
2) 친밀도강화 : 정치적 효능감 증진
3. 손수조의 SNS 사용 행태 분석
: 27세의 최연소 국회의원 후보로, 소셜 미디어를 활발히 활용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예시로 선정
A. 트위터
1) 트윗(재잘거림) : 정치인과 유권자의 교류가 아닌 사람과 사람 간의 감정적 교류, 일상 생활을 알리는 용도로 사용된다.
2) 정보 제공 :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알리고 싶은 정보에의 링크를 통해 제공.
3) 상호 작용 : 팔로잉 수와 팔로워 수의 비율을 통해 연설형과 소통형으로 나눌 수 있다.
i. 연설형 : 트위터를 정보 제공 및 설득의 목적으로 사용. 상대방의 의견을 반영하기보다는 자신의 의견을 알리는 수단으로 트위터를 사용하며, 팔로워의 수가 팔로잉의 수보다 월등히 높다.
ii. 소통형 : 유권자와의 소통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팔로워와 팔로잉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비슷하다.
B. 페이스북
1) 상호 작용 : 트위터에 비해서 본인의 의견 표출보다 지지자 혹은 대립하는 입장의 사람들의 글이 많다.
2) 과격한 언행
C. 블로그
1) 정보 제공 : 공약 및 해명
2) 참여 촉진
4. 정치인 SNS의 장점과 단점
A. 장점
1) 유권자 측면
i. 의견 반영
ii. 정보에 대한 접근성 확대
2) 정치인의 측면
i. 이미지 개선
ii. 친밀성 확보
iii. 참여 유도
: 기존의 지지자에게는 영향력을 미칠 수 있으나 새로운 참여자를 모을 수 있는지는 불확실.
B. 단점
1) 진위 여부와 상관 없이 정보의 확산 속도가 빠름
2) 정보격차에 따른 문제
3) 사이버 공간 상의 문제
i. 거짓 정보
ii. 과격한 언행
4) 감정의 교류로 인해 본래 목적의 상실
'YCCL 세미나 > 2012-1 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인 SNS, Pros & Cons (12) | 2012.04.23 |
---|---|
정치인 SNS의 장단점 분석 (9) | 2012.04.23 |
정치인 SNS의 장점과 단점 (11) | 2012.04.23 |
정치인들의 SNS분석 (6) | 2012.04.23 |
SNS 정치의 득과 실 (5) | 2012.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