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nline Deliberation
온라인 숙의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합의, 참여, 정보접근, 투표, 프로젝트 관리, 학습, 협동이라는 용어와 숙의를 쉽게 해주는 디지털 기술의 개발, 평가, 확산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단어들을 조합하여 만들어 낼 수 있는 경우의 수만큼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온라인 숙의를 정리하는 단계에서 크게 2가지를 다루고자 한다. 첫째, 온라인 숙의에 관련된 다른 관점들이 어디서 유래하게 되었는지를 통시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두 번째로 온라인 숙의와 관련된 다양한 의미들이 이 영역의 미래에 어떤 제안을 줄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많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온라인 숙의의 개념을 몇 가지로 분류해보고자 한다.
2. Democratic Theories and Political Deliberation
여러 가지로 온라인 숙의가 사용되었지만, 민주주의 이론과 관련하여 크게 2가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숙의민주주의와 관련된 논의에서 하버마스의 접근을 따르는 것과 이를 따르지 않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대표적인 학자는 프룸킨(Froomkin, 2004)으로 18세기 커피하우스 같은 공론장이 온라인 공간에서 다시 생기를 얻을 것이라고 본다. 후자의 대표적인 학자는 피쉬킨(Fishkin, 1997, 2009)으로 Deliberative Poll 연구에서 토론 집단의 크기에 따라서 개인의 정치적 선호가 바뀔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John Stuart Mill과 Jame Medison으로부터 나온 자유주의적 또는 연방주의적(즉, 공화주의적) 민주주의의 일부를 따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온라인 숙의는 민주주의 이론이 대한 이해를 분명히 해야 그것이 궁극적으로 목표하는 국가행정조직(civil polity)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3. A General Purpose Approach to Online Deliberation
온라인 숙의를 어떤 목적을 가지고 살펴보느냐에 따라서 다음의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Deliberation by Artificial Agents: 숙의적 추론 과정(deliberative reasoning process)이 인공지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2) Group Software: 집단 협동 소프트웨어(group collaboration software, DSS, gDSS)는 집단의사결정을 도와주는 프로그램들을 의미한다.; (3)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CSCW): 집단 협동 소프트웨어와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차이점이 있다면 작은 집단에서의 의사결정 행위를 목적으로 한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4) Group Learning Systems: 이 분야는 온라인 환경에서 집단 간의 학습을 연구한다.
4. Agents, Applications, Systems
1) Type of Online Deliberation
온라인 정치적 숙의(Online Political Deliberation)와 일반적 목적을 가진 정치적 숙의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
온라인 정치적 숙의 |
일반적인 목적을 가진 온라인 숙의 |
virtual government debate virtual government-citizen space virtual civic society online news media space online public-private shpere |
virtual meeting space collaborative writing tool argument visualization tool preference aggregation tool deliberating autonomous |
2) A Taxonomy of Online Deliberation
위와 같이 온라인 숙의는 정치적 목적을 가진 것과 그 이외의 목적을 가진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온라인 숙의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숙의 행위에 따른 분류가 필요하다.
Level |
Description |
Examples |
Agent |
인공지는 시스템에서 숙의적 추론 임무를 위한 코드 |
Deliberating autonomous agents |
Applications |
여러 가지 플렛폼에서 사용되는 숙의 활동을 위한 소프트 웨어 |
Preference aggregation tool Visualization tool Collaborative writing tool |
Systems |
전체적 디자인, 실행, 모집, 그리고 실행을 협력하고 유지하는 사회공학적인 시스템(sociotechnical system) |
Virtual meeting space Virtual government debate hall Virtual government-citizen space Virtual civil society Online news media space Online public-private sphere |
온라인 숙의를 간단하게 분류한 것은 온라인 숙의가 어떤 개념과 연관되어 있는지에 상관없이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온라인 숙의를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도구를 개발할 때 좀 더 많은 것을 고려할 수 있게 해준다.
'YCCL 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4일 세미나 (4) | 2010.05.04 |
---|---|
YCCL 수료식 (5) | 2010.03.05 |
Friends, Foes, and Fringe: Norms and Structure in Political Discussion Networks (3) | 2010.02.17 |
The Role of the Moderator: Problems and Rossibilities for Government-Run Online Discussion Forums (5) | 2010.02.02 |
Citizens Deliberating Online: Theory and Some Evidence (4) | 201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