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CCL 칼럼

slashdot.org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6. 13. 17:31

- Slashdot.org는 1997년 미국에서 만들어진 웹싸이트입니다. 미국 Michgan주(州) Holland의 Hope College 에서 Rob Malda와 Jeff Bates는 학교 계정을 이용하여 Slashdot을 만들었습니다. Slashdot.org은 컴퓨터 애호가들을 대상으로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방문합니다. Slashdot.org는 다양한 관심사에 관련된 카테고리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 slashdot에서 다루고 있는 카테고리는 애플사(社)제품, 북리뷰, 게임, 컴퓨터 하드웨어, 인터뷰, 리눅스, 핸드폰, 과학등으로 다양합니다. slashdot.org는 story(게시글), user들의 comment(댓글), 그리고 user들의 story와 comment에 대한 평가반응으로 이뤄집니다. 게시글에 대한 추천기능 이외에는 평가항목이 없고, 게시글과 댓글로만 이루어진 우리나라 온라인 게시판과 차이를 보입니다.


- slashdot.org에 회원가입을 해보겠습니다. 첫화면 오른쪽 상단에 Create Account를 클릭합니다. 필명(Nickmane)과 이메일 주소를 기입합니다. 뉴스 헤드라인을 받는지를 선택하는 항목도 보이네요.

- 회원 가입과 로그인이 완료되면 첫화면에 다음과 같은 계정 항목이 나타납다. 처음 가입하는 경우 Karma:Neutral이라고 보여집니다. Karma는 활동내역에 따라 매겨지는 개인별 등급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의미없는 코멘트를 달면 모더레이션 점수가 낮아지고 나아가 이는 카르마 점수를 낮게 만드는 매커니즘입니다. 아직 slashdot.org에 활동내역이 없으므로 Neutral이네요. 처음에는 점수제였지만 현재는 등급제로 바뀌었습니다.



- 다음은 slashdot.org의 가장 큰 특징인 story에 대한 moderation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oderation은 로그인을 한 이용자만 가능합니다. "Hardware: First Floating Wind Turbine Buoyed Off Norway"라는 story(게시글)을 예로 들겠습니다. 모든 사람이 moderator가 될 수 있는건 아닙니다. slashodot.org에서 mmoderating권한을 준 사람이 moderating을 위해 주어진 평가점수 내에서만 가능합니다. 우선 로그인을 해야하고, 오래동안 slashdot.org에서 활동한 기록이 있어야하고, moderator를 할 의사가 있는 것이 필수조건입니다.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moderating을 위해 slashdot.org에서 준 점수를 다 소진하면 moderating을 할 수 없습니다.

-  만약 "Hardware: First Floating Wind Turbine Buoyed Off Norway"글이 마음에 들었다면 좋은 평가를 줄 수 있습니다. 게시글 좌측 상단에 보이는 +/- 버튼 중 +를 선택합니다. fresh, funny, insightful, interesting, maybe와 같은 항목이 뜹니다.

- 만약 "Hardware: First Floating Wind Turbine Buoyed Off Norway"글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면 좋지 않은 평가를 줄 수 있습니다. 게시글 좌측 상단에 보이는 +/- 버튼 중 - 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binspam, dupe, notthebest, offtopic, slownewday, stale, stupid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게시글 댓글에 대한 moderating 기능도 존재합니다.

- 또한 게시판이나 댓글을 한 번 올리면 지울 수가 없다고 합니다. 이는 글을 올릴때 블로거들이 신중함을 기울이게 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 운영자의 FAQ를 살펴보면 moderating기능이 검열이 아니냐는 비판에 대해 "게시글과 댓글에 대한 삭제권한은 없으므로 검열은 아니다"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대신 "slashdot.org가 성장함에 따라 굴뚝에서 보석같은 정보를 선별할 필요가 있다. "며 moderating시스템의 취지를 설명합니다.    

- 이외에도 익명의 겁쟁이(Anonymous Coward) 기능을 통해 로그인을 하지 않은 사람도 온라인상에서 중요하지만 실명으로 공개하기는 어려운 게시글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다고 합니다.대신 다른 온라인 공동체 구성원들에 의해 코멘트를 받을 수는 없습니다. 실명제가 아니어도 익명의 글쓴이는 표현의 자유를 누릴 수 있지만 자신의 글에 대해서 광장에서 가치 평가를 받을 수 없게 하는 기능이 신선하군요. 결국 표현의 자유는 자신의 의견이 다른 사람에게 공감받아야 의미있는 권리인데 slashdot.org는 익명의 글에 대해 표현의 자유는 보장하되 다른 사람에게 공감받을 수 없게 함으로써 표현의 자유가 방종으로 치닫는 것을 막기 때문입니다.

- 마지막으로 slashdot.org는 명예의 전당(Hall of Fame) 메뉴를 갖고 있습니다. slashdot.org 내 온라인 멤버들의 활발한 활동을 자극하는 큰 유인기제가 아닐까 싶네요. 명예의 전당 항목은 크게 5가지 입니다. 1)제일 인기있는 게시글들(Most Active Stories), 2) 제일 많이 읽은 글들 (Most Visited Stories), 제일 인기있는 저자들(Most Active Autors), 제일 많은 글을 쓴 저자들(Most Active Submitters), 제일 많이 활성화된 투표들 (Most Active Poll Topics) 입니다.